수막염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방법

수막염은 뇌를 보호하는 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으로, 감염이나 자가면역 질환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의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과 예방에 대해 알아봅니다.

수막염이란?

수막염(meningitis)은 뇌를 보호하는 막인 ‘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세균, 바이러스, 결핵균, 곰팡이 등의 감염이나 자가면역 질환, 암 등이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게 세균성과 무균성으로 구분되며, 세균성은 치명적인 경우가 많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들에게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원인

세균성 수막염은 다양한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요 원인으로는 B군 연쇄상구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리스테리아균 등이 있습니다. 다른 기관에서 감염이 전이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신생아는 출산 중 산도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균성은 엔테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기생충, 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린이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증상

수막염의 주요 증상은 두통, 발열, 구토, 목 경직 등입니다. 염증이 뇌에까지 퍼지면 의식 장애나 발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아기나 유아는 불쾌감, 수유 거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수막 염증의 초기 증상은 감기와 유사해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세균성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진단

진단은 주로 혈액 검사와 뇌척수액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뇌척수액 검사는 허리 부위에 바늘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채취해 세균성, 결핵성, 바이러스성 등을 판별합니다. 또한, CT나 MRI를 통해 뇌 부위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며,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세균성 수막염은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바이러스성은 증상 완화와 체력 회복을 위한 치료가 진행됩니다. 결핵성은 항결핵제를, 진균성은 항진균제를 사용합니다. 자가면역 질환이 원인인 경우에는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며, 암이 원인인 경우에는 암 치료와 병행하여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예방하는 법

예방은 원인에 따라 접종으로 가능하며, 폐렴구균, Hib(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정기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막 염증을 일으키는 균에 대한 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경우라도 사람 많은 곳을 피하고, 해외 유학이나 출장 전에는 해당 지역에서 유행하는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