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골과상골절은 어린이에게 흔한 팔꿈치 골절로, 넘어짐이나 떨어짐 사고로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상완골과상골절의 주요 원인, 증상, 치료법,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적절한 치료와 예방으로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상완골과상골절이란?
상완골과상골절은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팔꿈치 골절입니다. 주로 넘어지거나 철봉에서 떨어지는 등의 사고로 팔꿈치 관절 부위가 부러집니다. 어린이의 뼈는 아직 성장 중이라 강한 힘이 가해지면 쉽게 골절됩니다. 팔꿈치 부위에 심한 통증과 부종이 동반되며, 골절이 크게 이동하지 않으면 수술 대신 보존적 치료가 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골절 부위가 심하게 이동하거나 신경, 혈관 등이 손상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원인
상완골과상골절의 주요 원인은 팔꿈치에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것입니다. 넘어지거나 떨어질 때 팔꿈치를 펴고 손을 짚으면 상완골이 부러질 수 있습니다. 어린이는 활발하게 움직이지만 운동 능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뼈도 성장 중이기 때문에 상완골과상골절이 자주 발생합니다. 어린이의 상완골 상부는 뼈의 표면을 만드는 골피질이 얇고 뼈 단면이 작기 때문에 강한 힘이 가해지면 쉽게 골절될 수 있습니다.
증상
팔꿈치 주위에 심한 통증과 부종, 뼈 변형 등이 나타나며 팔꿈치를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적절한 치료 없이 골절 부위가 이동하거나 그 이동이 심하면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를 펼 때 팔꿈치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내반팔꿈치나,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외반팔꿈치 변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이나 혈관이 손상되면 손가락에 저림이나 움직이지 않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관이 손상된 경우에는 혈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포크만 구축(Flexor contracture)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 및 진단
우선 사고가 발생한 시기와 방식, 팔꿈치 부위에 부기나 멍이 있는지 등을 자세히 확인합니다. 이후 상완골과상골절이 의심되면 X선 검사를 통해 골절 부위와 손상 정도를 파악합니다. 골절 부위가 크면 진단이 쉽지만, 어린이의 경우 경미한 골절일 때는 다른 부위의 골절이나 팔꿈치 탈구와 혼동될 수 있습니다. 통증과 부종 정도를 확인한 후, 필요하면 초음파 검사 등을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치료
골절 부위가 크게 이동하지 않으면 수술을 하지 않고, 깁스나 석고 등을 이용해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고정하는 보존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골절이 크게 이동한 경우나 변형이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피부를 통해 철선으로 골절 부위를 고정하거나, 피부를 절개하고 골절을 바로잡은 뒤 철선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기가 심하고 치료가 오래 걸릴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경이나 혈관이 손상되어 혈액 순환이 악화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의 괴사를 방지하기 위해 빠른 수술이 중요합니다.
예방 및 치료 후 주의사항
상완골과상골절의 원인 중 90% 이상이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사고입니다. 어린이는 활발하게 움직이지만, 운동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내반팔꿈치나 외반팔꿈치와 같은 후유증을 남기지 않도록 치료가 완치될 때까지 꾸준히 물리치료와 재활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