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 증후군(Sleep Apnea Syndrome)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피로와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 조치를 살펴보겠습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Sleep Apnea Syndrome)란?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수면 중 호흡이 10초 이상 멈추는 질환으로, 보통 1시간에 5번 이상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발생하면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됩니다. 대부분은 코골이를 동반하며,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중추형(CSAS): 뇌나 신경계의 이상으로 호흡을 위한 근육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발생

폐쇄형(OSAS): 비만 등으로 기도의 상부(목 부분)가 막혀서 호흡이 어려워지는 경우

혼합형: 중추형과 폐쇄형이 결합된 형태

호흡이 멈추면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며, 이로 인해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체력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됩니다.

원인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은 폐쇄형(OSAS)입니다. 이 유형은 보통 비만과 관련이 많으며,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이 누운 자세로 자면 목 부분의 기도가 좁아져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이때 코골이가 발생하며,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히면 무호흡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산소 부족 상태가 되면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만성적인 피로가 쌓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목이 굵거나, 턱이 뒤로 밀려 있는 사람, 혀의 기저부가 큰 사람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중추형(CSAS)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뇌나 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기도를 막는 것이 아니라, 뇌에서 호흡을 조절하는 신호가 제대로 근육에 전달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증상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는 현상과 코골이입니다. 이로 인해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서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없고, 밤새 반복적으로 잠에서 깨어나거나, 호흡이 힘든 꿈을 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강한 졸림이 느껴지며, 기억력 감소,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으로 인해 우울증이나 기분 저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 고혈압, 부정맥, 동맥경화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려면 CPAP(수면 무호흡 치료기) 사용 등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 의심될 경우, 문진을 통해 아래와 같은 질문을 확인합니다.

“일상에서 과도한 졸림을 느끼나요?”

“최근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떨어졌다고 느끼나요?”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코골이를 지적받은 적이 있나요?”

이후, 간이 검사를 집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는 잠자기 전에 손이나 몸에 장비를 착용하고, 산소 농도, 가슴의 움직임, 코로 호흡하는 상태 등을 체크합니다. 이 결과가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의심할 만한 경우, 수면 다원 검사(Polysomnography)를 위해 병원에 입원하여 호흡, 뇌파, 심전도 등의 여러 가지 변화를 확인하는 검사를 추가로 진행합니다.

치료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는 주로 생활 습관 개선을 포함합니다. 비만이 원인이라면 체중 감량이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입니다. 또한, 수면 중에는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코에 마스크를 씌운 채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기도의 폐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경미한 경우에는 비강 삽입 장치(Nasal Airway Device)나 구강 장치(마우스피스) 등을 사용하여 기도의 개방을 돕기도 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편도선 비대로 인해 기도가 막히는 경우에는 편도 제거 수술을 통해 호흡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및 치료 후 주의사항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가족 등 주변 사람에게서 코골이를 지적받을 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낮에 졸림이나 피로감을 자주 느끼고,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떨어진다면, 전문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은 수면 무호흡증에 걸릴 위험이 더 크므로, 건강한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합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갑작스러운 위험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